티스토리 뷰

반응형

자진퇴사 실업급여
자진퇴사 실업급여

 

퇴사를 고민할 때 가장 큰 걱정 중 하나는 경제적 문제일 것입니다. 흔히 실업급여는 비자발적 퇴사 시에만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자진 퇴사여도 일정한 정당한 사유에 해당한다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비자발적 퇴사가 아니어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5가지의 경우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비자발적 퇴사가 아니어도 실업급여 가능한 경우

1. 임금 체불이 발생한 경우

2개월 이상 임금이 체불된 경우, 이는 정당한 퇴사 사유로 인정되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최저임금 미달로 근무한 경우

근로자가 최저임금 미달로 근무했을 경우에도 자진 퇴사 후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3. 통근이 지나치게 어려운 경우

대중교통을 이용해 출퇴근하는 데 왕복 3시간 이상 소요되는 경우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4. 직장 내 괴롭힘 등 정신적, 신체적 피해가 있는 경우

직장 내 괴롭힘이나 근로 환경이 지나치게 가혹하여 정신적 또는 신체적으로 피해를 입었다면, 이를 입증할 수 있는 서류 제출 시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5. 권고사직 또는 계약 만료로 인한 퇴사

회사의 경영상 이유나 회사의 귀책사유로 퇴사를 권유받은 경우, 계약직 근로자가 계약 만료 후 재계약 제안이 없었거나 이를 거절했을 때애ㅔ도 자진 퇴사가 아닌 것으로 간주되어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실업급여 신청 시 필요한 서류

위 조건에 해당할 때는 반드시 관련 증빙자료를 준비하여 이직확인서와 함께 제출해야 합니다.

  • 임금체불 증명서류(임금명세서, 통장거래내역 등)
  • 출퇴근 시간 증빙 자료(대중교통 이용내역 등)
  • 직장 내 괴롭힘 관련 진단서 또는 상담 기록
  • 권고사직 관련 이메일, 문자 녹취록 등
  • 계약 만료 및 정년퇴직 증빙 서류

 

 

실업급여 신청 전 꼭 확인해야 할 조건

위의 조건을 충족하더라도 아래 기본 조건은 반드시 만족해야 합니다.

  • 이직 전 18개월 동안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총 180일 이상일 것
  • 적극적인 재취업 노력을 하고 있을 것
  • 근로 의사와 능력이 있지만 취업하지 못한 상태일 것

위 조건과 함께 정당한 사유를 입증할 자료를 준비하여 고용센터에 제출하면 비자발적 퇴사가 아니더라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비자발적 퇴사가 아니라도 위와 같은 정당한 사유가 있다면 충분히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정확한 사유와 증빙자료를 미리 꼼꼼히 준비하여 경제적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자진퇴사 실업급여자진퇴사 실업급여자진퇴사 실업급여
자진퇴사 실업급여자진퇴사 실업급여자진퇴사 실업급여
자진퇴사 실업급여자진퇴사 실업급여자진퇴사 실업급여
자진퇴사 실업급여자진퇴사 실업급여자진퇴사 실업급여
자진퇴사 실업급여

 

반응형